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
2019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홍보용 리플릿 | |||||
---|---|---|---|---|---|
작성자 | 행정과 | 등록일 | 2019/10/12 | 조회 | 1248 |
첨부 |
![]() ![]() |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
집안에 있을 경우
탁자 아래로 드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전기와 가스를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 수, 밖으로 나갑니다.
집밖에 있을 경우
떨어지는 물건에 대비하여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건물과 거리를 두고 운동자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엘리베이터에 있을 경우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합니다. ※ 지진 시 엘리베이터를 타면 안됩니다.
학교에 있을 경우
책상 아래로 들어가 책상 다리를 꼭 잡습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질서를 지키며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백화점, 마트에 있을 경우
진열장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계단이나 기둥 근처로 가 있습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밖으로 대피합니다.
극장, 경기장 등에 있을 경우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자리에 있다가,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전철을 타고 있을 경우
손질이나 기둥을 잡아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전철이 멈추면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
운전을 하고 있을 경우
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우고, 라디오의 정보를 잘 들으면서 키를 꽂아두고 대피합니다.
산이나 바다에에 있을 경우
산사태, 절벽 붕괴에 주의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해안에서 지질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높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풍수해 발생시 행동요령
태풍ㆍ호우 예보시
- TV, 라디오, 스마트 폰으로 기상상황을 파악합니다.
- 집 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는 등 재해위험요소를 정비합니다.
- 침수가 예상되는 지하주차장과 하천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옮김니다.
-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등을 단단히 고정합니다.
- 재난발생에 대비하여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을 준비합니다.
호우 경보시
- 외출을 자제하고 내 주위 상황을 관찰하여 이웃과 위험 정보를 공유합니다.
- 개울가, 하천변, 지하차도, 산사태위험지역은 접근하지 않습니다.
- 농촌지역에서는 논둑이나 물꼬를 보러 나가지 않습니다.
- 이동식 가옥, 가시설, 지하실 등에 거주할 경우 단단한 건물로 이동합니다.
- 상습침수지역, 산간계곡 등 대피권고를 받은 경우 즉시 대피합니다.
안전한국훈련!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재난대응 종합훈련입니다. 국민의 생활 속에서 실현하는 안전한 대한민국 2019.10.28(월) - 11.1(금) 국민참여 지진 대피훈련 : 10.30(수)
훈련개요
- 훈련기간:2019.10.28(월)~11.1(금) 5일간 *시범훈련:9.30~10.4(4일간)
- 훈련주관:행정안전부
- 참여기관:총 705개 기관 및 일반국민
일자별 주요 현장훈련 실시 계획
시범훈련
- 훈련전 9.25(수):사업장 화재, 유해화학물질 유출(전북 전주)
- 1일차 9.30(월):학교시설 지진, 화재. 유해화학물질 유출(부산 사상)
- 2일차 10.1(화):어린이집 화재로 인한 산불(경기과천), 다중밀집건축물 붕괴(경남 거창)
- 3일차 10.2(수):지진으로 인한 학교시설 붕괴, 화재(서울 중랑), 지하철 대형사고(공항철도, 대전도시철도공사)
- 4일차 10.4(금):대형병원 지진, 화재, 붕괴(광주광역시,광주 남구), 산불(대구 동구)
본훈련
- 1일차 10.28(월) - 숙박시설 대형화재, 유해화학물질 유출(대구광역시), 청소년 수련관 지진, 화재, 붕괴(강원 양구), 다중이용시설 대형화재(서울 종로)
- 2일차 10.29(화) - 유해화학물질 유출(환경부, 전라북도 전북 군산), 원자력안전 사고(원자력안전위원회, 부산기장, 전북 부안, 경남 양산), 요양병원 대형화재(경북 의성)
- 3일차 10.30(수) - 원유수급사고(산업통장자원부,한국석유공사), 해양선박사고 및 해양오염(부산중구, 부산항만공사), 국민참여 전국 지진대피훈련(10.30.14:00)
- 4일차 10.31(목) - 산불로 인한 문화재시설사고(문화재청, 충청남도, 충남 공주), 공동주택 지진, 붕괴, 화재(국토교통부 전북 김제,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진, 해일로 인한 다중이용시설붕괴(강원도, 강원 삼척)
- 5일차 11.1(금) - 항공기 사고(인천국제공항공사), 선박사고 및 해양오염(경남 통영), 산업단지 내 공장 대형화재(대전 대덕)
대규모 정전방기 절전행동요령
가정에서는
- 전기히터, 전기장판, 기타 전열기의 사용을 중지합니다.
- 재난상황 파악을 위한 TV, 라디오를 제외한 가전기기의 사용을 중지합니다.
사무실, 상가건물에서는
- 사무실 내 전기히터와 각종 사무기기의 전원을 차단합니다.
- 안전, 보안용을 제외한 실내조명등과 간판 등을 일시 소등합니다.
공장, 산업체에서는
- 공장관리자는 난방설비의 가동을 중지하거나 온도를 낮춥니다.
- 비상발전기의 가동을 점검하고 운전 상태를 확인합니다.
엘리베이터 내에서 정전이 됐을 때
- 조명이 꺼지거나 운행이 정지되며 인터폰(휴대폰)으로 구조를 요청하고 임의 탈출을 시도하지 않습니다.
지하철 사고시 행동요령
지하철 대피시
- 1. 객실 양 끝에 있는 비상통화장치로 관제실에 알립니다.
- 2. 화재발생 시 119에 신고하고, 객실마다 양 끝에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하여 불을 끕니다.
- 3. 코와 입을 수건, 옷소매등으로 막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객차로 이동합니다.
- 4. 출입문이 열리지 않으면 출입문을 수동으로 열고 탈출합니다.
- 5. 출입문이 수동으로 열리지 않으면 비상망치나 소화기 밑으로 유리창을 깹니다.
- 6. 스크린도어가 열리지 않을 때는 안전문 손잡이를 양쪽으로 밀거나 빨간색 바를 밀고 나갑니다.
- 7. 정전 시에는 대피 유도등을 따라 비상구로 나가고, 유도등이 보이지 않을 때는 벽을 짚으면서 나가거나 시각장애인 안내용 보도블록을 따라 나갑니다.
- 8. 지상으로 대피가 어려울때는 전동차 진행 방향 터널로 대피합니다.
수동으로 문을 여는 방법
- 출입문 옆 벽면의 출입문 비상핸들을 시계방향으로 돌립니다.(신형 전동차)
- 출입문 양옆 의자 아래의 출입문 비상콕을 앞으로 잡아당깁니다.(구형 전동차)
- 출입문을 잡고 양쪽으로 밀어서 문을 엽니다.
산불발생시
- 1. 산불 발견 시 119, 산림청에 신고합니다.
- 2. 초기의 작은 산불은 외투, 나뭇가지등을 이용해 두드리거나 덮어서 불을 끕니다.
- 3. 산불 규모가 커지면 산불 발생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대피 합니다.
- 대피하지 못한 경우, 바람을 등지고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이 없는 움푹한 곳에서 낮은 자세로 엎드려 구조를 기다립니다.
산불예방
- 1. 산행 전에 산림청 홈페이지를 통해 입산통제, 등산로 폐쇄 여부를 확인합니다.
- 2. 입산 시 성냥, 라이터 등 인화성 물질을 소지하지 않고, 담배를 피우거나 불씨를 다루지 않습니다.
- 3. 산에서 취사, 야영을 하지 않습니다. *지정된 야영장과 대피소에서만 가능
소(소화기),소(소화전),심(심폐소생술)
소화기사용법
체크포인트 압력계지침확인 녹색정상, 노란색 압력미달
- 1. 안전핀을 뽑는다.
- 2. 노즐을 잡고 불쪽을 향한다.
- 3. 손잡이를 움켜쥔다.
- 4. 분말을 골고루 쏜다.
소화전 사용법
체크포인트 수동기둥방식은 펌프 가동스위치를 누른다
- 1. 문을 연다.
- 2. 호스를 빼고 노즐을 잡는다.
- 3. 밸브를 돌린다.
- 4. 불을 향해 쏜다.
심폐소생술 순서
체크포인트 C. 가슴압박 - A. 기도유지 - B. 인공호흡(C-A-B순서)
- 1. 의식 및 호흡을 확인한다.
- 2. 119신고 및 AED 요청한다.
- 3. 가슴압박을 30회한다.
- 4. 인공호흡을 2회 한다.
2019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리플릿(훈련 안내,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 발생시 행동요령)입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글 | 2019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전화 컬러링 |
---|---|
이전글 | 2019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현수막 |
- 게시글 완전삭제시 완전삭제 사유를 입력해 주세요.(필수값 아님)
- 게시글 삭제시 삭제 사유를 입력해 주세요.(필수입력)
- 정보담당자
- 행정과
총무팀
043-420-6117
- 행정과
- 인쇄자정보
- 출력일 : 2023-05-28 13:11:30 출력자 : 손님 출력IP : 3.81.25.170